김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불매운동에 대한 질문을 받고 “법을 지키는 공정한 경제활동과 경쟁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 일부는 사회에 환원해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경제인의 임무”라며 “(경제인의 임무처럼) 소비자 권리는 자기가 좋아하는 좋은 품질의 물품을 좋은 가격에 사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불매운동은 참 안타까운 일”이라며 “(한국) 소비자들도 넓은 아량을 갖고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좋은 가격에 사서 생활을 영위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사사키 회장은 “불매운동으로 한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들이 큰 영향을 받고 있고, 여행 보이콧으로 한국인 방문객이 급감해 일본 지방자치단체들과 관광 산업도 타격을 입고 있다”며 “지금 왜 이런 일(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는지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한일경제인회의는 성명에서 “최근 양국 정치·외교 관계는 출구가 보이지 않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고 경제면에서도, 문화·스포츠 교류 분야에서도 긴장의 연속”이라며 “우리는 그동안 양국 민관의 선배들이 쌓아온 호혜적이고 양호한 경제관계가 위기에 처해 있음을 깊이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렇게 어려운 시기일수록 지금까지 발전시켜 온 경제교류의 유대가 끊어져서는 안 된다는 신념을 확인하고, 한일의 호혜적인 경제 관계의 유지·발전을 위해서는 정치·외교 관계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경제 상호발전에 정치·외교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양국 정부가 대화 촉진을 통해 한일관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나가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길 강력히 요망한다”고 강조했다.
コメント(댓글)